[Network]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 1 - 네트워크
이 글의 목표
이 글은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네트워크의 기본 지식을 쌓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범위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까지만 이해 할 수 있게 적어 볼려 합니다.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네트워크
2. IP(Internet Protocol)
3. 서브넷 마스크와 IP 주소 지정 방법
4. Private IP, Public IP
5. TCP와 UDP
6. 포트포워딩
글 포스팅이 끝나면 읽은 분 모두 포트포워딩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본인이 원하는 대로 설정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분산되어 있는 여러대의 컴퓨터를 통신말을 이용해서 연결 한 것"을 말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해서 웹 서핑을하고, 친구와 카톡을 주고 받고, 영화를 내려 받고 하는 행위 모두 네트워크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이 글 목표인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도 네트워크가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내 PC가 서버가 되서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서버로써 동작하는 방법을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매체가 필요합니다.
매체는 2가지로 분류 됩니다.
- 케이블 매체
- 무선 매체
여기서 케이블 매체는 유선, 광케이블 등이 있고 무선 매체는 와이파이가 있습니다.
보통 케이블 매체를 이용해서 데스크탑 PC를 포트에 꽂아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고, 휴대폰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해 공유기와 통신 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치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든 장치들을 노드라 부릅니다. 우리는 위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매체를 이용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에 접속한 노드들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아직 알지 못합니다.
쉽게 말해서 내 휴대폰으로 친구에게 메시지을 보내야 하는데 친구의 번호를 알지 못합니다. 그러면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내지 못합니다.
네트워크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내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지점의 노드를 어떻게든 구분해서 지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서는 I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 외에도 물리적 주소(MAC)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장비도 있지만 거기에 대해선 이해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 글에서 네트워크의 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IP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