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

[Network]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 3 실습 - 주소지정

복습 지난 글에서는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IPv4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구분 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제로 네트워크를 구분 해 보고 PC에 주소를 할당 한 뒤 서로에게 ping을 시도해 보겠습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아주 간단히 구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입니다. Cisco에서 제공하는 Packet Trac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 했습니다. 2대의 PC와 1대의 스위치(네트워크 2계층 장비. 3계층 역할까지 수행하는 MLS도 있음)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0.0 이 되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고 /24로 표현 할 수도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호스트 주소 범위내에서(0~255) 첫번째 주소, 마지막 주소는 각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 캐스..

Network 2021.04.14

[Network]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 2 - IP(Internet Protocol)

복습 전 시간에 저희는 "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 장치들이 있고 이를 노드라 부르고 이들은 매체를 이용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IP를 사용한다"라고 배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I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은 송신 측과 수신 측이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느 정보 위주의 규약(Protocol)입니다.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주소 지정과 패킷 분할 및 재조립 기능을 담당합니다. 여기서 IP가 OSI 7계층에서 어디에 속하는지 패킷을 어떻게 분할하고 재조립 하는지는 몰라도 됩니다. 저희는 IP가 주소 지정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IP version IP에는 대표적으..

Network 2021.04.04

[Network]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 1 - 네트워크

이 글의 목표 이 글은 내 PC를 서버로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네트워크의 기본 지식을 쌓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범위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까지만 이해 할 수 있게 적어 볼려 합니다.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네트워크 2. IP(Internet Protocol) 3. 서브넷 마스크와 IP 주소 지정 방법 4. Private IP, Public IP 5. TCP와 UDP 6. 포트포워딩 글 포스팅이 끝나면 읽은 분 모두 포트포워딩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본인이 원하는 대로 설정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분산되어 있는 여러대의 컴퓨터를 통신말을 이용해서 연결 한 것"을 말합니다. 인터넷에 접속해서 웹 서핑을하고, 친구와 카톡을 주고 받고, 영화를 ..

Network 2021.04.03